
김부자가 30억을 사기당한 사연을 털어놓으며 씁쓸한 근황을 전했습니다. 지난 19일 방송된 tv조선 ‘스타다큐 마이웨이’에는 ‘달타령’의 가수 김부자가 출연해 인생사를 고백했는데요.
김부자는 ‘달타령’으로 1970년대를 풍미한 신민요 열풍을 이끌었죠. 그렇게 만 16세 나이로 혜성처럼 등장해 신민요 여왕이 되었습니다.

그녀는 당시 인기에 대해 “그때는 금융실명제가 아니어서 도장만 있으면 무조건 통장을 만들 수 있었어요. 그때 통장은 50만원까지 밖에 못 넣더라고요.”라고 입을 열었습니다.
이어 “현찰은 들어오고 은행에 예금해야 되는데 도장만 계속 만들어서 통장을 만들었어요. 통장이 이만큼 됐던 기억이 나죠. 누군지 이름도 모르는 통장을 만들었던 기억이 나요”라고 어마어마했던 수입을 자랑했습니다.
방송에서 김부자는 오랜만에 절친한 동료 가수 박재란을 만났는데요. 박재란 역시 ‘산 너머 남촌에는’으로 가요계를 뒤흔들었던 가수이죠. 이어 가수 이숙까지 오며 자리를 채웠는데요.
김부자는 박재란과의 인연에 대해서도 한마디 했죠. “재란 언니는 못 잊어요. 저한테 하신 말씀이 ‘너 그렇게 돈 많이 벌어도 네 관리를 잘해야 된다’더라고요. 느낌이 있으셨나 봐요. 매니저도 좋고 신랑도 좋고 다 좋은데 자기관리는 철저히 하고 앞가림을 잘 해라라고 했죠.”

“그 말이 새록새록 생각이 났어요. 그때는 무슨 말인지 모르고 왜 그런 말을 하지 했는데, 그게 세월이 가면서 알게 되더라고요”라고 회상했습니다. 박재란은 그런 순진한 후배 김부자를 안타까워했죠.
박재란은 “그 사람 말을 100% 옳다고 믿고 받아들여요. 그러니까 사기를 당하는 거죠. 빚쟁이들이 오면 다 물어줘요. 상대방 말을 들으면 그럴 수밖에 없었다고 얘기하잖아요. 그러니까 우리가 다 내놓을 수밖에 있지 않나요.”라고 토로했습니다.
사람을 믿은 죄로 하루아침에 30억을 사기 당하기도 했던 김부자, 그녀는 “잊고 싶은 일들이 있더라고요. 다시는 꺼내고 싶지 않죠. 그런 얘기를 물어보면 대답 안 해요. 꺼내고 싶지 않죠.”라고 밝혔습니다.
박재란은 이어 “약아빠진게 없어요. 계산적이고 약아 빠진 사람들 참 많죠. 지금은 그런 사람들이 말도 못하게 많아요. 우리 후배들한테 얘기하고 싶은 건 건강의 재산이에요.”라고 조언했습니다.

김부자는 1944년생으로 올해 나이 80세입니다. 그녀는 원래 황해도 출신인데 가족들과 함께 내려오게 된 것이죠. 이에 대해 김부자는 “고향은 황해도 웅진인데 1.4후퇴 당시에 내려와서 강화도에 정착을 했어요. 그래서 강화가 저의 제2의 고향이 되었죠”라고 밝혔습니다.
이후 김부자는 가수의 꿈을 키우게 되는데 하지만 경찰관이었던 아버지의 반대가 굉장히 심했습니다. 그녀는 “아버지 직업이 경찰관이셨는데 당시에 반대가 심하셨어요. 제가 연예계에 나가면 딸 하나가 잘못되는 줄로만 아셨죠.”
“게다가 안동 김씨 가문에서 ‘딴따라가 웬 말이냐’면서 부모님께서 결사 반대를 하셨어요.”라고 당시를 회상했습니다. 하지만 김부자는 결국 1964년 동화방송 ‘가요 백일장’에 출연하며 여고생 가수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습니다.
이후 4년 뒤인 1968년 영하 ‘팔도 기생’의 주제곡을 부르면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죠. 그리고 이때부터 김부자는 전통 가요 분야 가수로 접어들면서 ‘일자 상서’, ‘달타령’, ‘금수강산에 백화가 만발하구나’ 등의 국악풍의 곡을 남겼고 당시 나훈아, 남진, 김세레나, 조미미 등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인정받습니다.

실제로 김부자는 kbs, mbc 10대 가수상을 비롯해 수상 기록만 500회가 넘고 레코드 취임만 2,500여곡이고 해외 교포 위문 공연도 200여 회를 했죠. 그렇게 1972년 ‘달타령’으로 민요의 여왕이라는 타이틀을 거머쥐었습니다.
지금까지도 후배 가수들에게 리메이크 되는 ‘달타령’으로 월남 위문 공연부터 파독 광부들을 위한 독일 위문 공연, 한국 근로자들을 위한 중동 위문 공연 등 전 세계에서 고국을 그리워하는 교민들의 마음을 위로하기도 했죠.
특히 그녀는 1997년 ymca 총재 감사패, 1996년 연예협회장 최다 봉사 공로회 등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김부자는 그렇게 엄청난 인기를 얻으면서 왕성하게 활동 중이던때 믿었던 지인에게 30억 가량의 사기를 당하게 되는데요.

그 때문에 이자만 4~500만 원을 내야 하는 상황에 처한 것으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전했죠. 이에 김부자는 가수로서의 인기 및 자신의 인생을 다시 돌아보게 되었고, 이로 인해 가수 활동이 점차 줄어들었지만 이후 어렵사리 힘든 시기를 이겨낸 그녀는 자기 관리 일환으로 건강 관리에 철저한 주의를 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그녀는 지금도 가수로서 드문드문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는데요. 2014년에는 45주년 기념 앨범 ‘사는날까지’를 발표하며 가수로서 건재한 모습을 대중들에게 선보였습니다.
김부자는 “새로운 음반에는 지금까지 여러 노래들을 많이 불렀으니 이제는 조금 더 재밌고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는 노래를 싣고 싶어요. ‘달타령’보다 좀 더 신나면서 현실적인 풍자가 있는 그런 인생 노래를 하고 싶죠.”
“지금까지는 주로 한복을 입고 불렀는데 이제는 좀 망가지는 노래를 하고 싶어요. 그러나 예전보다 좀 더 진한 정서가 있는 그런 노래를요.”라고 “노래란 나를 지켜주는 것이며 나의 생명이고 삶의 모든 것”이라고 말하며 자신을 “있는 그대로 기억해 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김부자는 1971년 전 남편 이상문과 결혼해 가정을 꾸린 적이 있는데요. 전 남편 이상문은 당시 37세로 김부자보다 9살 연상이었고 직업은 당시 김부자의 매니저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게 두 사람은 결혼 이후 슬하에 1남 1녀를 두었죠. 원래 김부자는 한복을 입지 않았는데 임신을 했을 때 한복을 입으면서 김부자의 트레이드 마크가 됩니다.
이에 그녀는 “임신 8개월 때 배를 가리려고 한복을 입었어요. 그런데 의외로 반응이 좋더군요. 당시 언론에서는 ‘김부자 만삭의 몸으로 달타령 부르다’라고 보도했고요. 게다가 한복을 입으면 체형에 잘 어울리고 마음이 평안해져요. 반면에 드레스를 입으면 뭔가 가벼운 느낌이 들죠. 그래서 해외 공연을 할 때는 반드시 한복을 챙겨요”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김부자는 이후 전 남편과 결혼 4년여 만인 1975년 임신 8개월의 이혼 선언을 하고 이후 2년간의 별거 생활 끝에 결국 결혼 15년 만에 이혼하게 되죠. 전 남편과의 이혼 사유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 없지만 남편의 외도 등이 문제였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로 김부자는 “결혼 후 3년간 남편의 낭비벽 때문에 싸움이 잦았어요. 그런데 제가 임신한 후부터는 외박까지 잦아져 이혼할 각오를 하게 됐죠.”라고 털어놓기도 했습니다. 김부자는 남편과 이혼한 뒤 자식 둘을 홀로 키웠는데요.
이에 대해 그녀는 “바빠서 내 몸에서 나온 자식을 품어 안아본 적이 없어요. 그게 마음이 아프고 늘짠했죠. 너무 힘든 시절을 보내다가 교회를 가게 됐어요.”라고 입을 열었습니다.
이어 “저희 아들과 딸이 먼저 교회에 다니면서 자꾸 교회에 가자고 권유하더라고요. 아이들이 자라면서 바른 길을 가야 한다고 생각해 교회에 다니도록 했는데 정작 저는 안 갔거든요. 그런데 아이들이 저를 위해 많이 기도를 했어요.”

“거기에 감동받아서 교회를 나가게 됐죠. 그리고 신앙을 만나면서 생활이 많이 바뀌었어요. 지난날에 저를 되돌아보게 된 게 그때부터였죠.”라고 전했습니다. 그러다 최근 ‘스타다큐 마이웨이’에 김부자가 출연하여 근황을 전했습니다.
그녀의 가족 관계는 1남 4녀 중 셋째로 김부자는 “딸 부잣집이에요. 아들 하나 보자고 이름을 부자라고 지으셨죠. 제제 이름만 특이해요. 그래서 저만 돌연변이 같죠. 집에서 노래도 저만 해요.”라고 전했습니다.

김부자 ‘달타령’은 최근 방송을 통해 송가인, 임영웅, 김태연, 김다현 등 후배들이 부르며 그 매력을 살린 바 있습니다. 이에 그녀는 “잘 불렀고 보기 좋아요. 후배들 덕분에 더 업된 느낌이죠. 박수 응원 찬사를 보내요.”라고 고마움을 드러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