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한핏줄 아닌가요??” 외국사람들에게 한국인이라고 오해받는다는 유전적으로 한국사람들과 가장 유사하다는 전세계 민족이 전해져 화제이다

투지아족

중국의 공식 소수민족인 투지아족은 전체적으로는 800만 명 이상의 인구가 중국 본토에 등록돼 있는데, 중국에 55개 소수민족 중 8번째로 인구가 많은 소수민족입니다. 후난성에 투지아족의 3분의 1이 몰려 있고, 그 외 후베이성에도 적지 않은 인구가 거주하고 있습니다.

투지아족은 과거 도트캐드 계보 프로젝트를 통한 유전적 유사성 결과에 있어 베트남인이나 몽골인보다 더 유사하다고 분석된 바 있습니다. 실제 투지아족을 본다면 일부 사람들은 외형적으로 한국인과 유사해 보여 주목되기도 했습니다.

투족

투족은 중국의 소수민족으로, 30만 명을 웃도는 인구가 중국 칭하이성을 중심으로 거주하고 있습니다. 언어 계통을 보면 알타이어족 몽골어군으로 분류할 수 있지만 현재 투족은 중국어를 사용하고 있고 전통적인 언어 문화는 멸종 위기 상태입니다.

이들은 티베트 불교를 주요 종교로 두고 있는데 일부지만 한국 선교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인들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투족은 도드캐드 프로젝트에 따른 유전적 평가에서 한국인과 유사하다고 평가된 바 있습니다.

야요이족

일본 야요이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몇가지 설이 존재하긴 하지만 가장 유력한 건 이들이 한반도에서 이주해 온 일본인이라는 주장입니다.

현대 일본인은 기존 일본 열도의 토착민인 조몬족과 이주해 온 야요이족의 유전자를 35대65의 비중으로 모두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야요이족은 일본인의 구성에 있어 핵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이 한반도에서 이주해 왔다는 근거는 여러 가지가 존재합니다. 이들이 사용했던 다양한 유물들이 한반도에서 발견된 것과 동일하다는 점, 한반도의 주구묘와 지석묘 등이 마찬가지로 야요이족에서 발견된다는 점은 이를 뒷받침해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대략 2200년 전 한반도에 있던 사람들이 큐슈로 이주해 오늘날에 이은 것이라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제시되고 있습니다.

제레드 다이아몬드도 자신의 저서인 총균쇠에서 일본인의 뿌리를 설명하며 야요이족이 한반도에서 이주했다는 연구 결과를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실제 현대 일본인의 외모는 다른 국가보다도 한국인과 매우 비슷해 보일 정도입니다. 다양한 반론이 있을 수 있겠지만 지금까지의 여러 근거로 본다면 일본인은 한국인과 가장 유사한 민족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족

인구 900만 명 정도인 이족은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중 7번째로 많은 인구로, 이 중 절반 이상이 윈난성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많지는 않지만 수천 명 정도의 일부 이족은 베트남과 라오스 등에도 분포해 있습니다.

이러한 이족은 무게 중심 문화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해 여성의 지위는 낮았습니다. 또한 과거에는 일부 다처제도 존재했는대요. 이러한 이족은 유전적으로 다른 민족에 비해 한국인과 유사하다고 평가된 바 있습니다.

시버족

시버족은 중국의 55개 소수민족 중 하나지만 인구는 20만 명 정도로 소수민족 중에서도 적은 편입니다. 이들 중 70%의 시버족이 랴오닝성에 몰려 있고, 이외 신장위구르 자치구에도 3만 명 이상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제기됐지만 대체로 만주족에서 파생됐다는 시각이 많은데 언어나 문화 등을 봐도 실제 만주족과 유사한 편입니다. 한편 유전적 분석으로 보면, 이러한 시버족은 투지아족보다 한국인과 더 유사하다는 결과가 공개되기도 했습니다.

나시족

한국인과 유전적으로 유사하다고 평가받은 나시족은 인구가 30만 명을 약간 상회하는 정도로 쓰촨성과 윈난성 인근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이족과 달리 모계 사회 문화를 지니고 있어 여성의 지위가 비교적 높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나시족의 최연장 여성은 한 집안의 중심이 되는데 이러한 최 연장 여성이 거주하는 곳에는 집 안에 미성년 자녀들이 모두 모여 거주한다는 독특한 문화가 있습니다.

또한 남성이 원하는 여성이 있어 잠자리를 원할 경우, 최종 결정 권한은 여성에게 있어 여성의 선택을 기다려야 합니다.

다만 워낙 자유로운 남녀 관계를 유지하다 보니 생물학적 아버지를 명확히 판단하기가 어려워, 외삼촌이 아버지의 역할을 맡아 양육한다는 점도 주목할 만 합니다.

니시족

인도 북동부의 맨 끝단에 위치한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는 인구 30만 명 정도의 니시족이 있습니다. 인도 전체로 보면 이들은 소수민족 중에 소수 민족이지만 적어도 아루나찰프라데시주에서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민족이기도 합니다.

인도 내 민족이라 독특하긴 하지만 이들은 한국인과 유사한 유전적 특성이 있다고 분석된 바 있습니다. 실제로 인도라고 하더라도 쉽게 목격할 수 있는 대다수의 인도인들과는 외형적 차이를 보이고 있고 오히려 몽골계라는 인종적 분류에 따라 동아시아 인근의 민중들과 비슷한 면모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아오족

아오족은 국내에서 의외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인과 비슷하게 한국인과 유전적으로 비슷한 민족이라는 분석 결과 때문이었습니다.

아오족은 25만 명 정도의 인도 내 소수민족으로 니시족의 아루나찰프라데시주와 인접한 인도 북동부의 나가랜드주에 주로 거주하고 있습니다.

실제 아오족은 도드캐드 계보 프로젝트의 분석 결과처럼 인도인임에도 한국인과 매우 유사한 내용을 갖추고 있어 많은 관심을 끌었는데 인종적으로는 몽골계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19세기 말 선교의 영향으로 인도의 핵심 종교인 힌두교가 아닌 기독교를 주요 종교로 두고 있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만주족

동아아시아의 퉁구스계 민족인 만주족은 인구 수로만 본다면 중국에서 4번째로 많은데 중국을 비롯해 대만, 홍콩 등 인접국을 포함한다면 인구는 1천만 명 이상입니다.

중국 내에서는 랴오닝성과 허베이성에 많은 만주족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만주족이 한국인과 유전적으로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는 그동안 다양한 곳에서 제기됐습니다.

만주족은 부자유전과 모계유전 모두 유전적으로 가장 비슷하다는 평가를 받는데 집단 간 분류학적 거리로도 펜로즈 크루스만법으로 계산했을 때 0.021로 한국인과 가장 가까울 정도였습니다. 이러한 만주족의 한국인과의 유사성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부랴트족

러시아 바이카호 인근의 부랴티야 공화국에는 30만 명에 가까운 부랴트족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다른 지역과 몽골, 중국 등에 거주하는 부랴트족을 모두 본다면 인구는 전체 50만 명 이상입니다.

이러한 부랴트족은 미토콘트리아 DNA를 통해 83.7%가 동부 유라시아, 16.3%는 남부 유라시아가 기원으로 러시아의 3대 도시인 노보시비르스크 내 유전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부랴트족이 한국인과 유전적으로 가장 가깝다고 주장했습니다.

참고로 FST 유전적 거리 측정에 따른 결과에서 부랴트족은 한국인에 이어 북부한족, 일본인, 남부한족 순으로 유사했습니다.

X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